Tech/IT,인터넷
평창 동계올림픽 분위기 물씬 WIS KT 부스 탐방
2017.05.28국내에서 열리는 IT 관련 전시회중 가장 큰 전시회라 할 수 있는 WIS가 지난 24일부터 코엑스에서 진행중 입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매년 열리고 있는 정보통합기술 전시회라 할 수 있는 WIS는 국내외 여러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미래의 기술 그리고 신제품 정보부터 직접 체험까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전시회이기도 합니다. 올해는 하루만 참관해 대기업 부스만 들렀는데 그중에서 처음 찾아간 곳은 KT 부스 입니다. 내년에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 공식 후원사이기도 한 KT는 부스 전체가 동계 올림픽 종목과 관련된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KT의 통신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습니다. 부스 입구에서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이 반갑게 손님을 맞고 있습니다. 동계 올림픽 종목을 직..
사람과 기술 kt 캠페인을 통해 보는 미래의 기술
2017.05.03지난해 알파고와 이세돌 바둑 대결에서 나온 두가지 견해가 있는데 하나는 인공지능이 미래 사람의 일자리를 뺏을것이다와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발달은 사람을 이롭게 할것이다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둘은 서로 상충된 의견이긴 하지만 둘다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술이 사람을 생각한다는 말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말이지만 요즘 더 실감이 나는 말이기도 합니다. 요즘 통신 회사 광고를 보면 스마트폰 이전과 이후로 나눠진다고 할까요? 스마트폰 이전에 이동통신 서비스의 요금제는 음성통화 중심이었지만 지금은 그 추세가 변해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바뀐지 좀 됐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전화는 전화 본연의 통화 기능 보다 다른 기능들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나오고 10년 우리 생활..
배터리를 구하라. KT SAVE 배터리 페스티벌
2017.05.01지난달 KT에서 사용자 스마트폰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려주는 C-DRX 기술을 LTE 전국망에 적용하며 주요 지역에서 이벤트를 진행중 입니다.CDRX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은 RRC 설정 및 재설정을 통해 CDRX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단말의 패킷 송수신이 없는 경우, 단말 송수신단을 Off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CDRX 설정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배터리 소모를 줄여 통신 관련Application 사용 가능 시간 증대가 가능한 기술로 현재 KT에서 국내 최초로 LTE 전국망에 적용한 기술 입니다.KT에서 이번 배터리 절감 기술을 발표하며 일반 사용자가 체감하는 행사도 함께 진행중이라 지난주 천안에서 열린 세이브 배터리 페스티벌에 참여하고 왔습니다. 천안 신부동에서 열린 KT 배터리 절감 기술 체..
사용자 스마트폰 배터리 늘려주는 KT 배터리 절감 기술이란?
2017.04.16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 부족하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아마 데이터와 스마트폰 배터리 일겁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일체형으로 트렌드가 바뀌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을겁니다. 늘 우리는 배터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지난주 KT에서 배터리 절감 기술 발표가 있었습니다. 통신회사가 사용자 배터리 사용량을 줄여준다니 좀 이상하게 들릴수도 있는 이야기지만 어떻게 통신사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절감할까요? 제조사가 해결해줘야 할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는데 현재 이 기술은 4월 부터 KT LTE 전국망에 우선 적용 되었습니다. KT는 어떻게 사용자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렸을까? KT에서 이번에 발표한 '배터리 절감 기술'은 'Connected Mode Discontinu..
INSTRUMMENT 펜 하나로 모든 치수를 측정해보자
2017.04.09기술이 발전할수록 그 기술을 활용한 세상에는 참 재미있는 물건이 많이 나옵니다.지난 토요일 꽤 재미있고 흥미로운 INSTRUMMENT 펜을 만나고 왔습니다. 펜이란 물건은 흔히 글씨를 쓰는 도구중 하나인데 이 펜은 다른 일반 펜에없는 조금 특별한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펜에 장착된 센서를 활용해 개체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스마트폰으로 기록하고 저장하며 그것을 데이터로 만들어 캐드등 설계 프로그램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펜의 상단부에 있는 센서와 레이져 포인트로 사물의 길이나 폭을 측정해 그 기록을 스마트폰에 저장하며 단위 변환도 가능합니다. 일반 펜과 마찬가지로 펜을 살짝 돌리면 펜촉이 앞으로 나와 일반 펜과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나 INSTRUMMENT 구조를 보면 아래쪽은 일반 펜과 같지..
낡은 아파트도 이제 기가시대 KT 기가인터넷
2017.04.072014년 10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기가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고 기가 인터넷이 보급되고 있어 많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인터넷 서비스의 역사를 KT가 그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광케이블을 활용한 100Mbps에서 시작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이제 기가시대로 바뀌었습니다. 현재까지 기가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는 KT 가입자의 경우 250만으로 앞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지은지 오래된 아파트나 건물은 기가급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기존 랜선을 4페어즈로 증설해야지 기가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네트워크 속도가 빨라지며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기술도 발전해 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들어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빨라진 기술만큼 통신속도도..
애플 아이폰7 레드와 에어를 빼고 새 아이패드 출시
2017.03.22애플이 특별한 이벤트 없이 새로운 제품을 홈페이지를 통해 출시 했습니다.보통 키노트를 통해 제품을 발표하고 출시를 했었는데 이번에는 그동안 무성했던 레드 버전 아이폰7을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아이패드 에어가 빠지고 가격이 좀 저렴한 아이패드 9.7을 출시 했습니다. 강렬하고 붉은색의 아이폰7 프러덕트 레드는 24일 미국을 시작으로 한국은 25일 부터 중국, 호주, 프랑스, 독일 등 40개국에서 한정 판매 됩니다. 붉은 색이라 중국에서 특히 인기가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프로덕트 레드'는 에이즈 관련 연구 및 예방에 나서는 펀드 단체 '레드(RED)'를 위한 특별 에디션으로 제품 판매 수익금의 일부가 레드에 기부 됩니다. 이번 아이폰7과 7플러스 프로덕트 레드 스페셜 에디션은..
KT 스마트홈 시대 시작 인공지능 스피커 기가지니
2017.01.18아마 올해 IT 업계 최대 키워드는 인공지능이 아닐까? CES 2017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가 AI였으며 가장 중요한 키워드중에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대국으로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인공지능 시스템이 이제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KT에서 지난 17일 인공지능을 탑재한 TV와 연결된 스마트홈 시스템 기가지니를 선보였습니다. CES 2017에서 이번에 다양한 인공지능 스피커가 출시 되었는데 기가지니의 경우 스피커와 tv가 연동되며 스피커로 입력된 명령을 tv가 수행하며 기존 인공지능 스피커가 음성인식 위주의 청각에 촛점이 맞춰져 있다면 TV연동과 카메라 내장으로 청각과 시각을 모두 활용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가지니는 스피커이자 카메라 기능 갖춘 셋..
블루투스5의 등장과 사물인터넷의 확장
2017.01.11블루투스 아마 노트북이나 핸드폰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씩 들어본 용어 일겁니다. 10년이상 우리생활 깊숙이 자리잡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중 하나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산업 표준중 아마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이 블루투스 그리고 요즘 NFC가 있습니다.블루투스(bluetooth)는 1994년 에릭슨이 만든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산업 표준중 하나이며 1994년 1.0 버전을 시작으로 현재 5.0 버전이 출시 되었으며 지금 가장 많은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블루투스 표준은 4.0 버전 이상 입니다. 인용 : 원래 Bluetooth는 10세기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덴마크 및 노르웨이를 통일한 바이킹 헤랄드 블루투스 (Harald Bluetooth : 910 ~ 985)의 이름에서 유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