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영화인이자 시인 그리고 소설가였던 심훈 선생님의 장편 소설 '상록수'는 교과서에 그 내용이 등재되기도 해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상록수'는 농촌 계몽소설로 한국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작품이며 심훈 선생님의 마지막 장편 소설이기도 하다.
1935년에 발표된 장편 소설로 당시 동아일보 장편 소설 공모전에 1등으로 등재된 작품이기도 하다.
당진 필경사는 심훈 선생님이 직접 지은 초가집으로 2년 동안 '상록수'를 이곳에서 집필했다. 필경사는 '붓으로 밭을 일군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름의 의미를 알고 나면 정말 작명을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당시 심훈 선생이 집필을 했던 필경사는 아직 그 자리에 있으며 지금은 심훈 기념관이 지어져 있다. 기념관 규모가 큰 편은 아니며 작은 공원처럼 꾸며져 있어서 근처로 지나며 쉬어갈 수 있게 좋은 곳이다.
주차장을 지나 입구로 가면 한국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심훈 선생님의 시가 입구 비석에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곳에서 심훈 선생을 기념하는 상록문화제가 매년 열리고 있다.
당시에는 필경사 앞이 논과 밭으로 지금과 다른 풍경을 보여줬겠지만 지금은 작은 공원처럼 꾸며져 있다.
작은 공원 같은 느낌인데 한쪽에 바로 심훈 선생님이 상록수를 집필했던 필경사가 있다.
필경사는 심훈 선생님이 일제강점기 탄압을 피해 1932년 이곳 당진에 내려와 작품 활동을 하며 1934년에 직접 설계해서 지은 집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집에서 농촌 계몽소설의 대표작 '상록수'를 집필을 시작해서 완성한 곳이다.
당시에 설계한 집을 그대로 복원 보수했는데 필경사는 전형적인 한국 농가의 초가집 형태다. 집 앞 문패에 보면 심훈의 집이라는 현판과 필경사가 눈에 들어온다.
독특한 형태의 창틀이라고 할까? 나무로 짜인 창 앞으로 처음 보는 형태의 작은 마루 평상이 매달려 있다. 창문 앞에 화분 같은 것을 놓고 키웠으려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필경사의 지붕은 짚으로 벽은 진흙을 바르고 모서리에 나무 기둥을 세운 전형적인 당시 농가의 목조 주택의 형태다.
필경사는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 초가 형태인데 내부는 개방되어 있지 않으며 공원 한쪽에 심훈 기념관이 있다. 필경사는 복원이 잘 되어서 당시의 모습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심훈 기념관과 필경사 주변은 작은 공원처럼 꾸며져 있어서 지나가며 차를 잠깐 멈추고 쉬어가기 좋은 곳이기도 하다.
필경사와 심훈 기념관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곳이기도 하며 심훈 선생님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지금 전시장과 기념관은 오픈하지 않았지만 작은 공원에 산책 나온 느낌으로 가볍게 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사실 소설 상록수의 내용은 기억나지 않지만 '상록수'란 책 제목은 옛날 교과서를 통해서 봐서 그런지 아마 누구나 기억하는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주소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부곡리 251-12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호두나무가 있는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국내에 처음 호두나무가 들어온 것이 700년 전이라고 한다. 지금은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만날수 있는 천안의 명물 호두과자는 사실 이곳 광덕사의 호두나무
raycat.net
한국 가톨릭의 역사 당진 솔뫼성지, 신리성지, 합덕성당까지
당진 솔뫼성지에서 솔뫼는 소나무 숲이란 의미의 단어로 바로 한국 최초의 신부 김대건 신부의 생가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김대건 신부 탄생이 올해로 200년이고 2021년 유네스코 세계기념 인
raycat.net
당진 여행 인스타 사진 명소 아미미술관 전시회
시골의 폐교를 미술관과 상주하는 작가들의 작업실로 만든 당진의 아미 미술관은 늘 지역 작가들의 꽤 흥미있는 전시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학생이 없어지면서 폐교가 되면서 학교를 미술관으
raycat.net
비대면 여행 당진 벚꽃길 아이와 산책하기 좋은 길
매년 이맘때면 한번은 방문을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봄이면 보통 벚꽃 나들이를 많이 하지만 올해도 코로나로 인해 다니기 쉽지 않은데 그래서 요즘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을 찾아다니는
raycat.net
'지구별여행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위로 걷기 당진 한진포구 해양산책로 전망대 (8) | 2021.07.07 |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호두나무가 있는 천안 광덕사 (6) | 2021.06.22 |
여름 정원으로 나들이 오산 물향기수목원 (6)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