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패드를 보는듯 4:3의 화면비 옵티머스 뷰(VU)
2012.03.22출시전부터 옵티머스 노트 옵티머스 메모등 다양한 이름으로 화제를 모았던 옵티머스뷰를 이번에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제품 출시전 잠깐 본적이 있어 그 어색함이 아직 남아있는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그 종류가 참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는걸 느끼게 해줍니다. 제일 큰 특징은 아무래도 지금까지 스마트폰에서 볼수 없었던 4:3이라는 화면비 입니다. 그래서 처음 봤을 때 어색함을 느꼈지만 몇일 사용해보니 화면비에서 오는 어색함은 일단 사라집니다. 그리고 메모장 같은 느낌을 주지만 사실 아이패드를 사용하다보니 스마트폰이라는 느낌보다는 미니패드를 보는듯한 느낌을 줍니다. 마치 아이패드를 줄여놓은거 같은 느낌으로 동일한 화면비에 같은 해상도라 더 그런 느낌을 받은거 같습니다. 박스 역시 기존의 스마트폰과 다르게 특이하게..
옵티머스 lte 화이트 깔끔하고 겨울 느낌 물씬.
2011.12.06요즘 스마트폰은 화이트컬러가 대세라고 하던데 옵티머스 LTE LGU+ 용만 화이트가 출시 되었더군요. 일단 아주 깔끔 합니다. 스노우 화이트의 느낌이 나는데 전면까지 모두 깔끔하게 처리 했더군요. 기능적으로 모두 같지만 단말기 컬러에서 아주 다른 단말기를 만지는 느낌을 줍니다. 뒷커버는 좀 단조로운 패턴이긴 하지만 뒷면도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옵티머스 LTE LGU+ 모델이 SKT용 모델과 다른점이 홈버튼 입니다. 금속으로 처리된 홈버튼은 밋밋할뻔 했던 외형에 포인터를 주는군요. 백라이트도 예쁘게 들어 오고 버튼 부분은 깔끔하게 마감이 되었다는 느낌을 주더군요. 위쪽에 모든 DMB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컨넥트가 모두 있습니다. 측면의 볼륨버튼 금속 재질의 실버톤과 화이트의 조합은 의외로 깔끔합니다. 블..
직접 만난 옵티머스 lte skt와 lgu+의 lte의 차이.
2011.10.1110월10일 lg전자의 옵티머스 lte 프레스및 블로거 제품 발표회가 있어 잠시 다녀 왔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lte 단말기도 경쟁의 시대로 들어서는듯 합니다. 옵티머스 lte는 skt와 lgu+ 두 회사에 출시되며 요금체계도 서로 다르지만 단말기의 기본 스펙은 같으나 디자인이 서로 다르고 실제로 만져보니 조금 차이도 있더군요. 행사의 진행은 옵티머스 lte의 모델인 민효린, 유희열, 정재형씨가 나와서 옵티머스 lte의 장점에 대해 설명과 이번에 처음으로 스마트폰에 채용된 IPS TRUE HD에 대한 간단한 비교 영상을 보면서 진행 되었습니다. LG전자의 공격적인 제품 발표회. 기존과 다르게 이번에는 LG전자가 아이폰4에 들어간 레티나를 업그레이드한 IPS TRUE LCD에 굉장한 자신감이 있는지 경쟁..
미리 만나본 LGU+용 옵티머스 LTE
2011.10.04옵티머스 LTE 이 달중 LGU+로 출시될 예정이고 곧 제품 발표회도 가질거 같더군요. 아마 앞으로 LG전자의 주력 모델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 일단 4.5인치 LCD는 해상도뿐 아니라 시야각이 우수한 IPS에 HD가 결합 되었고 옵티머스 LTE에 적용된 IPS 패널은 기존 (800x480)에 비해 2.4배 이상 향상되었고 우수한 색재현력으로 가장 자연스러우면서 선명한 화질을 보여 줍니다.테스트폰을 먼저 만져보게 되었는데 현재 스펙은 4.5인치 IPS-True HD LCD(1280x720), 1.5GHz Dual Core, Android OS 2.3, 8MP AF(BIS적용) 카메라에 LTE의 빠른 속도까지 더하면 지금까지 출시된 옵티머스 시리즈중에 가장 높은 퍼포먼스를 제공합니다. 4.5인치는 4.3인치..
차세대 통신망 4G LTE 서비스 모뎀으로 직접 체험해 보니
2011.08.02요즘 tv를 보면 통신 광고에서도 자주 나오는 단어죠. 4G LTE 현재 SKT와 LGU+가 LTE 상용서비스를 시작했고 KT의 경우 4G Wibro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4G LTE용 스마트폰은 아직 국내에 출시하지 않았지만 곧 출시가 될 예정이고 KT의 경우 4G Wibro용으로 HTC 단말기가 하나 출시가 되어 있습니다. LTE란 무엇인가 ? LTE는 'Long Term Evolution'의 약자로 CDMA2000과 4G(4세대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통신망의 전송속도.(아래의 수치는 이론적인 속도 입니다. HSPA+까지 3G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HSPA+ (21Mbps) -> Wibro(37Mbps) -> LTE(80Mbps) -> 4G (LTE-A, Wimax-..
2011 CES, 글로벌 1위 삼성전자 부스.
2011.01.13종합적으로 보면 글로벌 1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삼성 입구의 세계지도가 눈에 확 들어 온다. 삼성의 세계정복이라고 해야하나 어쨌든 해외에 나가면 모두 애국자라고 국내 브랜드를 보면 참 반갑다. 그것도 양쪽 입구중 한곳은 삼성이 반대쪽 입구는 LG가 다른 입구는 소니 , 그리고 MS와 INTEL이 나란히 다른 한쪽 입구에 부스가 있었다. 소니를 제외한 다른 일본 가전업체들은 모두 중앙에 있었으니 한국의 2기업이 일본 업체들을 누르고 어찌보면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 했다고 볼수 있다. 삼성의 모든 사업부가 부스에 몇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졌으며 이번 CES에서 가장 많이 볼수 있었던 스마트 , 3D 디스플레이가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3D 프로젝트도 있었고 스마트 TV쪽은 줄줄이 늘어선 줄에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