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 LTE
SKT 간편한 유심기변 3G 유심으로 LTE폰 사용해보니
2012.07.03단말기 자급제 즉 블랙리스트 제도가 지난 5월부터 도입되면서 이제 유심만 있으면 휴대폰을 따로 구매해 이용할 수 있도록 바꼈는데 요즘 최신 단말기는 대부분 LTE로 나오다 보니 3G 유심의 경우 단말기 사용이 좀 제한적이기도 합니다. 현재 SKT의 경우 3G유심에 대한 제한이이 블랙리스트 제도가 도입되면서 풀려 LTE 단말기도 3G 유심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3G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되어 있는 유심으로 옵티머스 뷰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보통 이렇게 이용할일은 잘 없지만 간혹 저처럼 2회선을 이용하고 공기계가 있다면 꽤 편합니다. 유심기변이 가능해진건 블랙리스트 제도의 도입때문이라 볼 수 있는데 예전에는 휴대전화 대리점에 가서 일일히 개통하고 전산등록을 해야 하나 지금은 그냥 유심만 바꿔 끼우면 공단말기..
[2012 WIS] SK텔레콤, 차세대 LTE기술로 당기고 콘텐츠로 밀고
2012.05.16국내 최대규모 IT 전시회 WIS 2012에는 국내 통신사인 SK텔레콤과 KT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3층 입구로 들어서니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곳이 바로 입구에 마주보고 있는 SK텔레콤 부스 입니다. SK텔레콤 부스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기술은 LTE에 관련된 시연과 기술에 관한 정보 그리고 모바일로 즐길수 있는 스마트 라이프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및 생활과 관련된 모바일 관련 기술들 입니다. LTE는 지난해부터 상용화가 되어 이제 얼마나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느냐가 제일 큰 과제라 그런지 LTE와 관련된 여러가지 기술을 주된 주제로 부스가 꾸며져 있으며 그외에 기업형 B2B 서비스와 SK텔레콤에서 서비스 하고 있는 T스토어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앞으로 SK플래닛의 오픈 플랫..
SKT LTE 서비스에 맞춰 준비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
2012.03.15작년부터 시작한 LTE 서비스가 아직은 불안정 하긴하나 이제 슬슬 3세대 통신망에서 벗어나 4세대로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요즘 출시되는 최신 스마트폰들이 모두 LTE폰으로 나오기도 합니다. 현재 LTE는 국내에서 빠른 속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통신 서비스이기도 하며 이번에 발표된 아이패드3 역시 LTE를 지원하고 있어 올해는 LTE는 전 세계적으로 더 확장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와 LGU+가 서로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SKT의 경우 올해는 LTE의 원년으로 보고 확장과 함께 품질 향상에 주력을 하고 있으며 또한 빠른 통신 속도에 맞춰 발 빠르게 소비자가 이용할수 있는 서비스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우선 SKT용 단말기의 종류를 한번 보면 현재 3G보다 LTE에 맞..
옵티머스 lte로 체험해본 LTE속도 실제 이용하기는 어떨까.
2011.11.09(3G VS 4G LTE.) 요즘 한참 광고로 많이 접할수 있는게 4G 입니다. 빛 과 같은 속도 머 학교 입학하자 마자 졸업했다 등등 속도에 차별화를 많이 두고 있습니다. 옵티머스 LTE에서 3G와 SKT LTE망에서 속도 측정한 부분인데 네 광고대로 속도는 굉장히 차이 납니다. 특히 고화질의 이미지 자료등을 클라우드에서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 받을때 사용해 보면 확실히 큰 차이가 느껴집니다. 문제는 단지 항상 저런 속도가 나오는건 아닙니다. 현재 출시된 LTE 단말기들을 보면 모두 비슷한 스펙에 3G와 4G 두 채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LTE가 전국적으로 상용화가 된게 아니라 일부 지역에 한정된 서비스이기 때문 입니다. 일단 제 경우에 서울과 지방을 자주 왔다갔다 하는 편이라 서울에서는 LTE ..
차세대 통신망 4G LTE 서비스 모뎀으로 직접 체험해 보니
2011.08.02요즘 tv를 보면 통신 광고에서도 자주 나오는 단어죠. 4G LTE 현재 SKT와 LGU+가 LTE 상용서비스를 시작했고 KT의 경우 4G Wibro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4G LTE용 스마트폰은 아직 국내에 출시하지 않았지만 곧 출시가 될 예정이고 KT의 경우 4G Wibro용으로 HTC 단말기가 하나 출시가 되어 있습니다. LTE란 무엇인가 ? LTE는 'Long Term Evolution'의 약자로 CDMA2000과 4G(4세대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통신망의 전송속도.(아래의 수치는 이론적인 속도 입니다. HSPA+까지 3G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HSPA+ (21Mbps) -> Wibro(37Mbps) -> LTE(80Mbps) -> 4G (LTE-A, Wimax-..